올해 6월 6일은 망종이면서 현충일입니다.
현충일에 대해서는 그래도 좀 알고 있었던 반면, 절기인 망종에 대해서는 이름만 알고 있었지 어떤 의미인지는 잘 모르고 살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망종과 현충일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망종
망종은 24절기 중 소만과 하지 사이에 있는 9번째 절기입니다.
망종이라는 말은 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식물을 뜻하는 망(芒) 자와(芒) 씨 종(種) 자가(種) 합쳐진 말로
논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씨를 뿌리는 시기라는 뜻인데요. 우리나라에서 이 무렵은 보리는 베고 논에 모내기를 하기 적당한 때라고 합니다. (절기의 이름과 계절은 약간의 차이가 있기도 하답니다.)
망종은 보통 양력으로 6월 6일 무렵이며, 태양의 황경이 75도에 달하는 때입니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 하여 망종의 시기로 풍흉을 점치기도 했다는데요, 이를 망종 보기라고 합니다. 음력으로 4월 중에 망종이 드는 게 좋다고 합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빈 논에 벼를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는 뜻이랍니다. 이 시기에는 사마귀와 반딧불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매화가 열매를 맺기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망종 풍습
이 시기에 아이들은 보리 이삭 줍기와 보리 그스르기에 바쁜 시기였다고 합니다.
망종에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1년 동안 허리가 아프지 않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풍습이 있기도 했습니다.
현충일
매년 양력 6월 6일은 현충일입니다. 그래서 6월을 호국보훈의 달이라고 하는데요.
현충일은 ‘충렬을 드러내는 날’이라는 뜻으로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들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전쟁을 겪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전란으로 희생된 자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났고 40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고 백만 명에 달하는 시민이 사망하거나 피해를 당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난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습니다.
1975년 현충일로 공식 개칭하고 1982년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주요 행사
현충일의 추모행사는 국가보훈처 소관으로 진행되는데요.
1988년부터는 추념식과 참배행사를 모두 국립현충원에서 거행하고 있습니다. 국민들과 정부요인들 그리고 대통령이 현충원에서 참배하며 오전 10시 정각에 울리는 사이렌 소리에 전 국민이 1분간1 경건히 묵념하며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나라를 위해 싸우다 숨진 분들을 추모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추모 대상은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군인들만 대상으로 하지 않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립니다. 그리고 이날은 조기를 게양합니다.
올해는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해 축소되었던 행사를 6월 6일 오전 9시 55분에 국립 서울현충원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전국적으로도 185개 지역에서 지방 추념식도 진행된다고 합니다.
그냥 하루 쉬고 지나가는 날이 아니라, 그날의 정확한 의미를 알면 더 뜻깊은 날이 되지 않을까 싶어 망종과 현충일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제 6월 6일엔 편히 쉬면서도 그날의 의미를 한 번쯤은 생각해 보게 될 거 같아 뭐가 뿌듯한 기분이 듭니다.
'오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기 '하지' 뜻, 풍속, 하지 감자 (0) | 2022.06.13 |
---|---|
'단오'에 대해서 (단오 의미, 풍습, 단오제) (0) | 2022.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