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도권까지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했다는 뉴스 기사를 접해보셨을 겁니다. 무덥고 습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일반 모기들은 물론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모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말라리아의 증상과 예방법, 치료법 등 말라리아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말라리아란?
대부분의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우리나라에서는 '학질'이라고도 알려진 급성 열성 감염병입니다. 말라리아의 병원체는 말라리아 원충으로 원충에 감염된 암컷 모기가 사람을 물어서 전파됩니다.
대표적인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는 전 세계에서 매년 2억명이 넘게 환자가 발생하며 사망자도 많아 치명률이 높은 편에 속하는 감염병입니다. 매년 4월 25일은 세계 말라리아의 날로 지정해 지속적인 국제적 협력과 관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
대체로 열대기후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우리나라에서도 5월에서 10월 사이 매일 한 명 이상(매년 400명 정도)의 환자가 발생할 정도이며,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더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삼일열 말라리아 원충에 의한 삼일열 말라리아가 유행하는데요. 휴전선 접경지역인 경기와 강원 북부, 그리고 인천 등지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말라리아 증상
말라리아는 잠복기가 다양해 짧게는 7~20일, 길게는 6~24개월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는 오한과 발열, 발한 등의 증상이 48시간 주기로 반복되며, 두통과 설사, 구토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하루는 고열에 시달리다가 다음 날 하루는 열이 전혀 없고 또 그다음 날 다시 열이 나는 등의 패턴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삼일열 말라리아와는 다르게 열대지역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발열이 주기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중증으로 이어지거나 여러가지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도 높다고 합니다.
말라리아 치료
말라리아는 신속진단키트 등으로 빠르게 감염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치료제가 있어 정해진 기간 동안 잘 복용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원충의 종류와 지역에 따라 투약해야 하는 약제가 달라지므로 여행이력등을 알려 제대로 된 치료와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완벽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혈액과 간에 존재하는 말라리아 원충은 2년 내에 재발 위험이 있어 빠짐없이 약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라리아 예방
말라리아는 모기 매개의 감염병으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말라리아의 매개 모기는 얼룰날개 모기로 4월에서 10월 사이 일몰 직후부터 일출 직전까지 야간에 사람의 피를 빨아들이며, 다른 모기와는 다르게 벽면과 45도 각도로 앉아 있고 윙하는 비행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논이나 수풀, 습지 등 물이 고인 웅덩이에 주로 서식하므로 집 주면에 웅덩이가 있으면 고인 물을 꼭 제거해 주어야 하며, 매개 모기의 주 활동 시간인 야간에 야외 활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야간에 외출을 해야 한다면 밝은 색의 긴 옷을 입고 모기 기피제를 3-4시간 간격으로 뿌려줍니다. 방충망을 정비하고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기 기피제나 살충제는 식품안전처에서 허가된 제품을 사용합니다.
해외 말라리아의 경우에는 치료시기를 놓치면 뇌손상 이나 중추신경계 이상 등의 후유증과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말라리아 위험국으로 여행할 경우 말라리아 예방약을 꼭 복용해야 하며 증상이 생기면 신속하게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위험 지역의 지자체는 대대적인 방역 활동과 모니터링을 통해 집중 관리한다고 밝혔는데요. 위험 지역에 거주하거나 방문할 경우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 수칙을 잘 지켜야겠습니다.
열대야 알아보기(열대야 기준 온도, 잠 잘 자는 법)
요즘 30도가 넘는 무더위가 계속되면 잠 못 이루는 열대야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열대야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열대야는 무엇인지 기준 온도 등과
green05.tistory.com
여름 집중 호우, 낙뢰 시 안전 수칙 행동 요령
여름이 되면 장마와 집중호우, 태풍 등 많은 비로 인해 피해를 입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여름철 집중 호우나 폭우, 낙뢰 발생 시 미리 알아두어야 할 안전 수칙들과 행동
green05.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칫솔 교체 주기와 칫솔 살균기 효과, 제대로 사용하는 법 (0) | 2023.07.12 |
---|---|
인센스 스틱 폐암 유발? 부작용과 안전한 사용법 알아보기 (0) | 2023.07.11 |
열대야 알아보기(열대야 기준 온도, 잠 잘 자는 법) (0) | 2023.07.04 |
꼭 알아야 할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0) | 2023.07.01 |
하이커 그라운드의 '하이커 페스타' 정보(일정, 라인업, 이벤트) (0) | 2023.06.23 |
댓글